[추세] Vortex 지표 알아보기

1. Vortex 지표란?

Vortex 지표는 주식, 외환,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 추세 확인과 거래 신호 생성에 활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. 이 혁신적인 지표는 2010년 에티엔 보텔리어(Etienne Botes)와 더글라스 시펠(Douglas Siepman)이 고대 물리학 개념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했습니다.

주요 특징은 상승 및 하락 움직임을 두 개의 라인으로 시각화해 시장 방향성과 추세 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Vortex 지표의 개념과 계산 방법, 그리고 실전 활용법을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.


2. Vortex 지표의 개념: 두 개의 라인으로 시장 읽기

Vortex 지표는 다음 두 가지 라인으로 구성됩니다:

  • Vortex Plus Line (+VI): 상승 추세를 나타냅니다.
  • Vortex Minus Line (-VI):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.

이 두 라인은 특정 기간 동안의 고가와 저가를 기반으로 계산되며, 서로 교차하는 순간 중요한 매수 또는 매도 신호를 제공합니다. 즉, +VI가 -VI 위에 있다면 상승 추세, -VI가 +VI 위에 있다면 하락 추세로 간주됩니다.

알테오젠(196170) 주가와 Vortex 지표 차트


3. Vortex 지표의 계산 방법

Vortex 지표는 가격의 상승 및 하락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.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TR(트루 레인지), VM+, VM-, 그리고 +VI, -VI의 값을 차례로 구해야 합니다.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1) 트루 레인지(TR) 계산

TR은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폭을 측정하는 값으로, 다음 세 가지 값 중 가장 큰 값을 선택합니다:

$$ TR=max⁡(고가 - 저가,∣고가 - 이전 종가∣,∣저가 - 이전 종가∣) $$

  • 고가 - 저가: 현재 기간의 고점과 저점 간의 차이
  • |고가 - 이전 종가|: 현재 기간의 고점과 이전 종가 간의 차이의 절대값
  • |저가 - 이전 종가|: 현재 기간의 저점과 이전 종가 간의 차이의 절대값

예시:

  1. 현재 고가: 105
  2. 현재 저가: 100
  3. 이전 종가: 102

세 값을 계산하면:

  • ((고가 - 저가 = 105 - 100=5))
  • ((|고가 - 이전 종가| = ∣105 -102∣=3))
  • ((|저가 - 이전 종가| = ∣100 -102∣=2))

따라서, (( TR=max⁡(5,3,2)=5 ))입니다. 이와 같은 TR 값을 일정 기간(일반적으로 14일) 동안 합산하여 사용합니다.

2) 상승 및 하락 움직임 (VM+ 및 VM-) 계산

상승 및 하락 움직임은 현재 기간의 고가와 저가를 기준으로 각각 측정됩니다.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$$ VM+ = |\text{현재 고가} - \text{이전 저가}|\\VM- = |\text{현재 저가} - \text{이전 고가}| $$

예시:

  1. 현재 고가: 105
  2. 현재 저가: 100
  3. 이전 고가: 103
  4. 이전 저가: 99
  • (( VM+=∣105 - 99∣=6 ))
  • (( VM-=∣100 - 103∣=3 ))

이 VM+와 VM- 값을 동일하게 설정된 기간(예: 14일) 동안 합산합니다.

3) +VI 및 -VI 계산

+VI와 -VI는 각각 VM+와 VM-를 TR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$$ +VI=\frac{\sum \text{VM+}}{\sum \text{TR}}\\-VI = \frac{\sum \text{VM-}}{\sum \text{TR}} $$

여기서:

  • (( \sum \text{VM+})): 설정된 기간 동안의 VM+ 값의 합계
  • (( \sum \text{VM-})): 설정된 기간 동안의 VM- 값의 합계
  • ((\sum \text{TR})): 설정된 기간 동안의 TR 값의 합계

예시 (14일 기준):

  • ((\sum \text{VM+})) = 75
  • ((\sum \text{VM-})) = 45
  • ((\sum \text{TR})) = 100

계산하면:

  • ((+VI = \frac{75}{100} = 0.75))
  • ((-VI = \frac{45}{100} = 0.45))

4. Vortex 지표 해석

  1. ((+VI))와 ((-VI))는 두 개의 라인으로 표시되며, 이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매수 또는 매도 신호를 생성합니다.
    • ((+VI > -VI)): 상승 추세 신호
    • ((+VI<-VI)): 하락 추세 신호
  2. 두 값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추세의 강도가 강합니다.

이 계산 과정을 대부분의 차트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수행하지만, 위와 같이 수식을 이해하면 Vortex 지표가 실제로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
5. Vortex 지표의 장점과 한계

장점

  • 간단한 해석: 계산식이 다소 복잡하지만, 실제 사용은 매우 직관적입니다.
  • 다목적 활용: 주식, 외환, 암호화폐 등 다양한 시장에 적용 가능합니다. 
  • 추세 강도 파악: 단순히 방향뿐만 아니라 강도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.  

한계

  • 다른 지표와의 병행 필요: Vortex 지표는 추세 확인에 강점이 있지만, 단독으로 사용 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. 
  • 허위 신호 가능성: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잘못된 신호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.  

Vortex 지표를 RSI, MACD와 같은 오실레이터 또는 이동 평균 지표와 조합해 사용하면 신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 


6. 결론: Vortex 지표로 시장의 흐름을 잡아라 

Vortex 지표는 추세와 방향성을 파악하고 거래 신호를 생성하는 데 강력한 도구가 될 수 있습니다. +VI와 -VI의 교차를 활용하면 매수 및 매도 시점을 효율적으로 파악할 수 있으며, 시장의 강도를 객관적으로 평가할 수 있습니다.  

그러나 모든 기술적 지표와 마찬가지로 Vortex 지표 역시 보완적인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신호의 신뢰도를 높이고, 시장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한 전략을 세운다면 더욱 효과적인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.  
이 글이 Vortex 지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 질문이나 추가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 

'기술적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변동성] Chopiness Index 알아보기  (0) 2024.11.18
[추세] Vortex 지표 파헤치기  (4) 2024.11.17
[추세] TRIX 파헤치기  (2) 2024.11.13
[추세] TRIX 알아보기  (3) 2024.11.12
[거래량] VWAP 알아보기  (1) 2024.11.08